[뉴스특보] 초강력 태풍 '힌남노' 북상…피해 줄이려면?

2022-09-05 4

[뉴스특보] 초강력 태풍 '힌남노' 북상…피해 줄이려면?

■ 방송 :
■ 진행 : 정영빈, 이윤지 앵커
■ 출연 : 이영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제11호 태풍 '힌남노'가 매우 강한 세력을 유지한 채 한반도를 향해 북상하면서,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강풍과 폭우를 동반한 '초강력' 태풍으로 불리면서 비상이 걸린 상황인데요.

이영주 서울시립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모시고 현재 상황과 대비 방법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태풍 진로와 영향

태풍 힌남노가 제주 서귀포시 남남서쪽 해상에서 시속 24㎞의 속도로 북상 중입니다. 태풍의 진행 속도가 빨라졌는데 지도를 보면서 현재 태풍 위치와 함께 경로를 설명해주실까요?

태풍이 오늘 밤 자정쯤 제주를 지나 내일 새벽에 경남 남해안에 상륙할 것으로 보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지역이 될지, 알려주시겠습니까?

특히 우려되는 건 상륙 시점이 바닷물이 높은 만조 시간대와 겹친다는 점입니다. 해일이 10m가 넘을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데요?

보통 태풍의 오른쪽 반원은 '위험 반원'이라고 부르죠. 힌남노가 예상 경로대로 이동하면 부산과 울산 등이 태풍 진행 방향의 오른쪽인 '위험 반원'에 들어갈 것으로 보여 피해가 집중될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우리 정부도 태풍 힌남노에 대응하기 위해 어제 오후 4시 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대응 수위를 1단계에서 3단계로 상향하지 않았습니까? 1단계에서 3단계로 2단계를 거치지 않고 상향한 경우는 사상 처음이라고 하는데, 그만큼 태풍의 위력이 우려스럽다는 뜻으로 보면 될까요?

태풍 힌남노의 중심 기압이 930hPa, 최대 풍속은 시속 180㎞, 초속 50m로 예상되면서 역대 가장 강한 위력을 지닐 거란 예상이 나오는데요. 숫자만으론 위력을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라고 보면 될까요?

앞서 태풍 힌남노가 지나간 일본 오키나와를 보면, 그 위력을 가늠해 볼 수 있는데요. 강한 비바람에 우산이 뒤집힌 것은 물론이고 행인이 넘어지고, 가로수가 부러지는 등 강풍 피해가 상당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북상 중인 태풍 힌남노는 2002년 루사나 2003년의 매미보다 강력하다고 하는데요. 루사나 매미 모두 8월 말에서 9월 초 사이에 발생했던 '가을 태풍'이죠. 이렇게 '가을 태풍'의 위력이 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2002년이었습니다. 태풍 루사는 기상 관측 시작 후 최대 강수량을 기록하면서 당시 강릉 지역에는 연평균 강수량의 62%가량이 하루 만에 쏟아졌습니다. 역대 최대인 5조 1천억 원 가량의 재산 피해를 냈는데요. 힌남노도 이에 못지않은 엄청난 수증기를 가진 채 이동하고 있어 폭우 피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말 그대로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규모'의 피해가 발생 가능하다고 생각해야겠습니다. 문제는 태풍이 몰고 온 고온다습한 수증기가 태풍 위험 지역 외에 전국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 아니겠습니까? 수도권 역시 거대 비구름이 드리워져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해 보입니다?

#2. 지역별 대비

제주는 태풍의 길목이죠. 강한 태풍이 통과할 때마다 많은 피해를 입었는데요. 제주를 오가는 모든 여객선과 항공편 모두 발이 묶인 상탭니다. 어제 제주 곳곳에서 침수 피해가 잇따랐는데, 오늘 직접 영향권에 든 만큼 대피가 필요해 보입니다?

제주는 해일 위험도 무척 큽니다. 제주와 남해상은 내일까지 최고 10m 이상의 매우 높은 물결이 일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대비가 필요할까요?

지난 2020년 태풍 마이삭, 하이선 당시 부산이 많은 피해를 입었는데요. 고층 건물 사이의 강한 돌풍, '빌딩풍'을 조심해야겠죠. 태풍이 지나는 동안은 아예 외출하지 않는 게 좋겠지요?

앞서 태풍 힌남노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특히, 지형적 효과가 더해지는 지역은 집중호우가 우려됩니다. 태풍에 동반된 강풍이 경사면을 타고 오르다 보면 비구름이 발달해 비가 더 강해진다고 하던데요?

2003년 9월 상륙했던 '매미'의 강풍, 위력이 대단했습니다. 항구의 대형 컨테이너 크레인도 무너져내렸고, 건물 간판은 물론 가로수도 바람에 휩쓸려 넘어졌습니다. 강풍에 대한 대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시설물이 날아가지 않도록 보강하는 작업이 꼭 필요하겠죠?

강풍이 부는 상황에서 옥외 시설물을 수습하다가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태풍에 대한 대비는 태풍이 근접하기 전에 마치고, 지붕이나 담벼락 붕괴 수습 역시 시점이 중요해 보입니다?

얼마 전 내린 집중호우로 산사태나 땅 꺼짐 위험도 큰 상황입니다. 산사태 위기 경보도 '관심'에서 '경계'로 상향됐는데요. 지반이나 시설물이 약해진 상황인 만큼 철저한 대비로 피해를 최소화하는 게 중요해 보입니다?

산사태 취약 지역에서는 산사태 위험 징후를 잘 살펴야 할 텐데요. 산사태를 의심해야 하는 상황,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3. 각 가정 대응책

각 가정에서도 철저한 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 지난달 집중호우를 겪으면서 배수구 점검의 중요성 알고 계실 텐데요. 배수구가 제 기능을 못 하면 하수 역류 등으로 피해가 더욱 커지지 않겠습니까?

해운대 고층 아파트 유리창이 잇따라 파손됐던 사고 기억하실 텐데요. 강풍에 대비해 아파트 등 고층 건물 거주자들은 유리창에 X자로 테이프를 붙이거나 젖은 신문지를 바르는 분들이 많은데요. 실제로는 창틀과 유리를 테이프로 고정시키는 게 더 효과적이라면서요?

특히 태풍이 한반도에 접근하는 시각이 밤이라는 점이 우려스러운데요. 각 가정에서는 어떤 대비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십니까?

정전이나 고립에 대한 대비도 필요해 보이는데요. 집 안팎의 전기설비가 고장 나더라도 직접 수리에 나서는 것은 정말 위험하죠?

갑작스런 폭우에 보행로가 침수되는 경우도 빈번한데요. 침수 시에도 빨리 이동해야겠다는 ...